JOB 정보

연봉 1억 원, 실제 수령액은 얼마일까?

헤드헌터 윤재홍 2025. 7. 30. 11:10

연봉 1억 원, 실제 수령액은 얼마일까?

"연봉 1억"이라는 숫자는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금액입니다. 하지만 실제로 손에 쥐는 금액은 이보다 훨씬 적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오늘은 연봉 1억 원의 실수령액을 월급 기준으로 현실적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.

✅ 1. 연봉 1억, 월급으로 따지면?

연봉 1억 원은 세전 기준으로 연간 총소득이 100,000,000원이라는 뜻입니다.

이를 12개월로 나누면 월 8,333,333원입니다.

하지만 여기서부터 각종 세금과 4대보험이 차감되기 시작합니다.

✅ 2. 4대 보험과 세금, 뭐가 빠질까?

① 국민연금 (4.5%)

→ 약 375,000원

② 건강보험 (3.545%)

→ 약 295,000원

장기요양보험료도 따로 포함됩니다 (건강보험료의 약 12.81%)

→ 약 37,000원 추가

③ 고용보험 (0.9%)

→ 약 75,000원

④ 소득세 + 지방소득세 (10%~15% 근사 적용)

→ 약 820,000원 정도 (실제는 누진세율에 따라 달라짐)

✅ 3. 월 실수령액 계산 예시 (2025년 기준 근사치)

항목
금액(원)
월 세전 급여
8,333,333
국민연금
-375,000
건강보험
-295,000
장기요양보험
-37,000
고용보험
-75,000
소득세+지방소득세
-820,000
월 실수령액
약 6,730,000원

즉, 연봉 1억 원이라도 실제로 매달 받는 금액은 약 670만 원 수준입니다.

연간으로 환산하면 약 8,070만 원 수준을 실제로 받게 되는 것이죠.

✅ 4. 보너스나 성과급이 포함된 연봉이라면?

만약 연봉 1억 원에 성과급, 인센티브, 상여금이 포함되어 있다면?

기본 월급은 더 낮고, 보너스 시점에 세금이 더 많이 빠지는 구조가 됩니다.

예를 들어 연봉 1억 중 2,000만 원이 연 2회 보너스라면,

매달 세전 기본급은 약 6,666,666원이 되고 실수령액은 약 540만~580만 원까지 떨어질 수 있습니다.

✅ 5. 결론 – 연봉 1억의 현실

구분
금액
세전 연봉
100,000,000원
실수령 연간 합계
약 80,700,000원
실수령 월급
약 6,730,000원

생각보다 적다고 느껴지셨나요?

연봉이 높아질수록 세율과 공제 항목이 늘어나기 때문에, 실수령액 증가폭은 점점 둔화됩니다.

✅ 6. 참고 팁: 연봉 1억 이상 직장인이라면

절세 방법 고려 : 연금저축, IRP(개인형 퇴직연금), 중소기업 투자조합 출자 등

세테크 상담 : 연말정산에서 환급받을 수 있는 항목들을 미리 준비

실수령액 기준 연봉 비교 : 이직이나 연봉 협상 시 실수령액 기준으로 계산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

✍ 마무리하며

연봉 1억은 분명히 고소득자 기준이지만, 그에 따른 세금과 공제액도 만만치 않습니다.

실제 손에 들어오는 돈이 얼마인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재무 설계와 소비 계획도 현명하게 세울 수 있겠죠?